< 문제 설명 >
카카오배 양궁대회가 열렸습니다.
라이언은 저번 카카오배 양궁대회 우승자이고 이번 대회에도 결승전까지 올라왔습니다. 결승전 상대는 어피치입니다.
카카오배 양궁대회 운영위원회는 한 선수의 연속 우승보다는 다양한 선수들이 양궁대회에서 우승하기를 원합니다. 따라서, 양궁대회 운영위원회는 결승전 규칙을 전 대회 우승자인 라이언에게 불리하게 다음과 같이 정했습니다.
- 어피치가 화살 n발을 다 쏜 후에 라이언이 화살 n발을 쏩니다.
- 점수를 계산합니다.
- 과녁판은 아래 사진처럼 생겼으며 가장 작은 원의 과녁 점수는 10점이고 가장 큰 원의 바깥쪽은 과녁 점수가 0점입니다.
- 만약, k(k는 1~10사이의 자연수)점을 어피치가 a발을 맞혔고 라이언이 b발을 맞혔을 경우 더 많은 화살을 k점에 맞힌 선수가 k 점을 가져갑니다. 단, a = b일 경우는 어피치가 k점을 가져갑니다. k점을 여러 발 맞혀도 k점 보다 많은 점수를 가져가는 게 아니고 k점만 가져가는 것을 유의하세요. 또한 a = b = 0 인 경우, 즉, 라이언과 어피치 모두 k점에 단 하나의 화살도 맞히지 못한 경우는 어느 누구도 k점을 가져가지 않습니다.
- 예를 들어, 어피치가 10점을 2발 맞혔고 라이언도 10점을 2발 맞혔을 경우 어피치가 10점을 가져갑니다.
- 다른 예로, 어피치가 10점을 0발 맞혔고 라이언이 10점을 2발 맞혔을 경우 라이언이 10점을 가져갑니다.
- 모든 과녁 점수에 대하여 각 선수의 최종 점수를 계산합니다.
- 과녁판은 아래 사진처럼 생겼으며 가장 작은 원의 과녁 점수는 10점이고 가장 큰 원의 바깥쪽은 과녁 점수가 0점입니다.
- 최종 점수가 더 높은 선수를 우승자로 결정합니다. 단, 최종 점수가 같을 경우 어피치를 우승자로 결정합니다.
현재 상황은 어피치가 화살 n발을 다 쏜 후이고 라이언이 화살을 쏠 차례입니다.
라이언은 어피치를 가장 큰 점수 차이로 이기기 위해서 n발의 화살을 어떤 과녁 점수에 맞혀야 하는지를 구하려고 합니다.
화살의 개수를 담은 자연수 n, 어피치가 맞힌 과녁 점수의 개수를 10점부터 0점까지 순서대로 담은 정수 배열 info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라이언이 가장 큰 점수 차이로 우승하기 위해 n발의 화살을 어떤 과녁 점수에 맞혀야 하는지를 10점부터 0점까지 순서대로 정수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만약, 라이언이 우승할 수 없는 경우(무조건 지거나 비기는 경우)는 [-1]을 return 해주세요.
<1차 접근>
- 어피치가 쏜 과녁보다 갯수가 높아야 점수를 얻는것임으로 해당 과녁 점수에 필요한 화살 갯수를 나누어 각 점수마다의 화살 한개가 가지는 점수를 가치화하여 계산한다.
- 화살 하나당 점수를 2차원 배열에 넣어[과녁점수-화살가치]로 구성한다.
- 화살가치 기준으로 정렬을 한다 (Compare 재정의)
- 남는 화살이 나온경우 가장 낮은 점수부터 채워나간다.
>>첫 실패 요소
- 라이언이 얻는 가장 큰 점수가 아니라 가장 큰 점수 "차이" 즉, 라이언이 점수를 획득하는 경우, 어피치의 점수를 뺏는것 까지 계산하여 화살을 가치화 해야한다.
<2차 접근>
- 해당 값을 기준으로 다시 화살 한발 당 가치 비교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info) {
int[] answer = new int[info.length];
double[][] arrowVal = new double[11][2];
double target = 10.0;
int totArrow = n;
for(int j =0 ; j<info.length; j++){
arrowVal[j][0] = (info[j] != 0 ? 2:1) * target/(double)(info[j]+1);
arrowVal[j][1] = target--;
}
Arrays.sort(arrowVal, new Comparator<double[]>(){
@Override
public int compare(double[] o1 , double[] o2){
return Double.compare(o2[0] , o1[0]) == 0 ? Double.compare(o1[1],o2[1] : Double.compare(o2[0],o1[0] );
}
});
int apeachScore = 0;
int lionScore = 0;
for(int k = 0 ; k < arrowVal.length; k++){
int totArrowInd = answer.length - (int)arrowVal[k][1]-1 ;
if(totArrow ==0) break;
else if(totArrow >= info[totArrowInd] +1){
answer[totArrowInd] = info[totArrowInd] +1;
totArrow -= info[totArrowInd] +1;
}
}
answer[answer.length-1] += totArrow;
for(int j = 0 ; j < info.length; j++){
if(info[j] ==0 && answer[j] ==0) continue;
else if(info[j] >= answer[j]){
apeachScore += info.length -j;
}
else{
lionScore += info.length - j;
}
}
if(apeachScore > lionScore) return new int[]{-1};
else{
return answer;
}
}
}
>>두번째 실패 요소
- 마지막 사항인 점수차이가 최대인 경우가 여러가지가 나올 경우 점수가 가장 낮은 과녁에 화살을 더 많이 맞춘 경우를 우선 선택한다는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
- 이 부분에서 내가 사용한 방법에서는 놓치는 부분이 발생 ex) 10점 점수를 가져가는 경우가 포함되어있다면 무조건 10점 우선채택
<3차 접근>
- 결국 라이언이 이기는 모든 경우의 수를 파악하고 그 경우의 수 끼리 비교하여 결과를 도출
- 이 경우 깊이우선탐색(dfs)를 사용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List<int[]> ryanScoreList;
public int[] ryan;
public int[] apeach;
public int maxScore = -1;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info) {
ryanScoreList = new ArrayList<int[]>();
ryan = new int[11];
apeach = info;
dfs(n, 0, 0);
return sort(ryanScoreList);
}
public int[] sort(List<int[]> list){
Comparator<int[]> comparator = new Comparator<int[]>(){
@Override
public int compare(int[] a , int[] b) {
for(int i = a.length-1 ; i>=0 ; i--){
if(a[i] == b[i]) continue;
return b[i] - a[i];
}
return 0;
}
};
Collections.sort(list,comparator);
return list.size() > 0 ? list.get(0) : new int[]{-1};
}
public void dfs(int n, int depth, int start){
if(n == depth){
int apeachScore = 0;
int ryanScore = 0;
for(int j = 0 ; j < ryan.length; j++){
if(apeach[j] ==0 && ryan[j] ==0) continue;
if(apeach[j] >= ryan[j]) apeachScore += ryan.length -j -1;
else ryanScore += ryan.length-j-1;
}
if(ryanScore > apeachScore) {
if(ryanScore - apeachScore > maxScore){
ryanScoreList.clear();
ryanScoreList.add(ryan.clone());
maxScore = ryanScore - apeachScore;
}
else if(ryanScore - apeachScore == maxScore){
ryanScoreList.add(ryan.clone());
}
}
return;
}
for(int i = start; i < ryan.length; i++){
ryan[i]++;
dfs(n,depth+1,i);
ryan[i]--;
}
}
}
※ 알게 된 것
> 깊이 우선 탐색 (Depth-First Search) 알고리즘
※ 주의 할 것 되새김
> DFS 알고리즘의 이론만 배우고 제대로 적용 할 줄 몰랐던 것. 이론을 적용하는 실전예제를 접하는 부분
출처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hallenges?order=recent&page=1
'알고리즘 >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출문제) 2021-Dev Matching 코딩테스트 - 행렬 테두리 회전하기 (0) | 2023.02.24 |
---|---|
기출문제) 2022 KAKAO TECH INTERNSHIP - 두 큐 합 같게 만들기 (0) | 2023.02.24 |
기출문제) 2022 KAKAO BLIND RECRUITMENT - 주차 요금 계산 (1) | 2023.02.21 |
기출문제) 2023 KAKAO BLIND RECRUITMENT - k진수에서 소수 개수 구하기 (0) | 2023.01.31 |
기출문제) 2023 KAKAO BLIND RECRUITMENT - 택배 배달과 수거하기 (0) | 2023.01.24 |